[버블 정렬 best case 시간복잡도] 진화한 버블 정렬, 완전히 정렬되었을 때 best case O(n)?
버블 정렬 학교에서 내부 정렬을 배울 때 가장 먼저 배우게 되는 정렬은 바로 버블 정렬입니다. (내부 정렬이란 주기억 장치에서 이루어지는 정렬을 말합니다.) 왜냐하면 버블 정렬은 구현이 매우 간단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버블 정렬은 최종 정렬 위치에 있더라도 교환을 하는 일이 발생하는 등 굉장히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자주 사용하지 않는다고 배웠습니다. 버블 정렬 시간 복잡도 하지만 버블 정렬의 시간 복잡도를 검색해보면 Worst case performance O(n²) Best case performance O(n) Average case performance O(n²) 위와 같은 검색결과가 나옵니다. 최악의 경우와 평균은 O(n²)인데 최상의 경우가 O(n)으로 되어있습니다. 삽입 정렬의 경우는 완전히..
IT/알고리즘
2020. 7. 16. 00:0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축구 유튜버
- 엑셀
- 토트넘
- 축구
- 축구 영어
- 맨유
- 단어
- 손흥민
- 한글
- 솔샤르
- 파워포인트
- 어플 추천
- 스포츠 영어
- 단어장
- 영어 단어
- 웹사이트
- 영어 공부
- 어플리케이션
- 앱
- 영단어
- 포체티노 인터뷰
- 손흥민 골
- 오피스
- 영어
- 포체티노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무리뉴
- 한컴
- 산체스
- 일상 영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